“새만금 상시 해수유통·지반 안정화 대응, 기본계획에 반드시 포함해야”

'새만금 기본계획에 대한 전북시민사회어민단체의 제안’ 토론회 개최

2024-09-26     박경민 기자

새만금 기본계획에 전면적인 상시 해수유통 방안을 담고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한 지반 안정화 대응도 포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새만금상시해수유통전북도민서명운동본부와 새만금 도민회의, 한국수산경영인전북연합회 등이 주최한 ‘새만금 기본계획에 대한 전북시민사회어민단체의 제안’ 토론회가 25일 오후 2시 전북자치도의회 2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2025년까지 개편을 진행하고 있는 새만금 기본계획에 시민·어민단체들의 제안을 함께 만들어보자는 취지로 마련된 이날 토론회는 윤종주 충남연구원 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장의 사례발표와 오동필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공동단장의 발제에 이어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김종주 전북수산산업연합회 대표, 오현숙 전북자치도의원이 토론을 벌였다.

사례발표를 맡은 윤종주 센터장은 “현재 새만금에서 이뤄지는 해수유통량을 늘리는 것만이 답이며, 생태환경을 개선하면 관광 활성화 등 주민소득이 늘고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그러면서 그는 해수유통을 통해 생태복원에 나선 부남호 사례를 들며 “새만금의 경우도 해수유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발제에 나선 오동필 단장도 “새만금 추가 매립을 전면 중단하고 전면적인 해수유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최근 3년간 해수유통 물관리에 나선 결과 수질 개선 효과가 뚜렷했다"며 "그런 만큼 2025년 새만금 수질 중장기계획에 해수유통으로 물관리를 공식화하고 배수갑문 관리와 해수유통량 확대 등 정밀한 수질 대책을 수립해 '제7차 기본계획 변경안에 연동해서 반영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또 이 대표는 "해수유통을 늘리는 방법이 최선"이라며 "단기적으로는 배수갑문 개폐, 소조기에도 1일 2회 갑문 최대 운영 등에 나서고 장기적으로는 배수갑문 추가 증설과 지하터널, 조력발전소 건설 등 상시 해수유통 확대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 좌장을 맡은 오창환 새만금도민회의 공동의장은 “이미 매립된 지역의 안정화도 환경 못지않게 중요하다”며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한 지반 안정화 대응도 새만금 기본계획에 포함돼야 한다”고 제안해 주목을 끌었다.

/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