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변단체 여론몰이 지원하는 조례까지 만들어졌다니 '희망' 보이지 않아...전북 리더들 세대교체 시급“

'전북 재도약을 위한 원탁 대토론회’ 시민사회단체 반응

2024-05-21     박주현 기자
전북애향본부가 주최하고 주관한 '전북 재도약 원탁회의'가 20일 전주시 그랜드힐스턴 호텔에서 열렸다.

‘전북 재도약을 위한 첫 원탁 대토론회’가 열렸지만 관변단체 중심의 여론형성이란 지적과 함께 행정과 정치인을 위한 행사인 데다 기득권 체계를 공고히 해 온 단체가 주도하는 의제들이었다는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전북애향본부가 중심인 ‘전북대도약추진위원회’가 20일 오후 3시부터 ‘전북 재도약을 위한 원탁회의’를 전주 그랜드힐스턴호텔에서 각계각층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으나 주최 및 주관 단체와 초청 참석자들에 대한 시민사회단체들의 비판 여론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잇따르고 있다.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지역이 망하게 된다면 진앙지가 여기가 아닐까?“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페이스북 캡처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이날 행사가 끝난 직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지역이 망하게 된다면 진앙지가 여기가 아닐까”라며 “기대한 것은 아니지만 주제발표 방향과 기조도 그렇고 전북의 위기적인 상황에 대한 혁신을 논하는 분위기는 아니었다”고 전제했다. 

이어 이 대표는 “지역 언론, 정치권과 한 몸이 된 대표적인 관변단체로서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개발 의제가 대부분이었다”며 “지역 낙후와 정치적 소외를 강조하면서 새만금 행정구역 통합, 새만금 물류거점 공항을 만들자는 것과 전주·완주 통합 촉구 발언이 대부분이었고 K-컬쳐와 관광, K-푸드, 농업 전략, 교육 관련 이야기도 나오긴 했지만 구색 갖추기로 밖에 보이지 않았다”고 평했다.

또한 “‘누구를 위한 통합인가’, ‘행정과 정치인을 위한 통합 아닌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물은 이 대표는 “(이날 행사는) 기득권 체계를 공고히 해 온 애향본부가 주도하는 의제들이었다”며 “‘지금 뭣들 하자는 것인지 모르겠어요. 들어야 할 사람이 다 가고 있다’라는 전북일보 부사장의 말(토론)이 이 자리가 누구를 향한 자리인지 보여주는 말이었다”고 지적했다.

“전북애향본부, 역할 두고 그 명 다했다는 평가 나온 지 십수년 지났는데”

그러면서 그는 “여야 경쟁 구도를 만들어야 한다는 하나마나한 이야기와 열심히 하라는 뻔한 말들만 오갔다”며 “ 방송사 생중계와 유튜브 방송까지 하는 이 행사를 연 애향본부의 역할을 두고 그 명을 다했다는 평가가 나온 지 십수년이 지났다. 의회까지 나서서 문제 제기를 했는데, 미래산업과 문명전환 시대를 지난다고 하면서 이런 관변단체 여론몰이를 지원하는 조례까지 만들어졌다. 이러니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고 비통해했다.

아울러 “지난 20년 애향(운동)본부 총재 자리는 전북도민일보와 전북일보 사장이 맡고 있다”는 이 대표는 “관언민유착이다. 언론으로도 부족해 관변단체까지 동원하는 모습이 볼썽사납다”면서 “애향이 아니라 해향(害鄕)운동본부라고 할 정도로 일부에서 부르는 전북애향운동본부가 발전적 해체를 통해 이 지역 어른들의 단체로 거듭 났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는 전북일보 기사(2018년 10월 24일) 내용을 인용해 강조하기도 했다.

손주화 전북민언련 사무처장 “대안이라는 게 결국 관변단체 중심의 여론 형성인가”

손주화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 페이스북 캡처

한편 손주화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이번 행사와 관련해 21일 페이스북에 올린 ‘어제 전북애향본부 원탁회의를 보며’란 글에서 “‘참담할 만큼 위축된 전북의 영향력과 위상 악화’를 만들어 온 핵심들이 모여서 전북의 미래 발전을 위해 더 많은 개발과 더 많은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걸 보니 지금 무엇보다도 시급한 건 전북 리더들의 세대 교체라는 생각이 강고해진다”고 에둘러 비판했다. 

또한 손 처장은 ”KCC 프로농구단 이전, 아태마스터스대회 실패, 새만금 잼버리 실패와 이로 인한 국가 예산 삭감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 원인자들이 구세주처럼 등장하는 전북의 현실에 학을 뗀다“며 ”당선자가 내놓은 주요 대안이라는 게 결국 관변단체 중심의 여론 형성인가“라고 일갈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