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희 의원 “죽음의 봄을 멈춰야 한다...전북 노동자 4월 들어 7명 사망, 전북자치도 특별대책 마련해야"
현장 이슈
”죽음의 봄을 멈춰야 합니다.“
강성희 국회의원(진보당·전주을)은 최근 전북지역에서 연이어 발생하는 노동현장의 근로자 사망사고와 관련해 전북별자치도의 강력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강 의원은 24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지역에서 올 4월에만 7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며 "도대체 얼마나 더 죽어 나가야 우리 노동자들은 안전한 일터에서 죽지 않고 일할 수 있단 말이냐"고 밝힌 뒤 전북자치도의 안이한 대처를 비판했다.
강 의원은 ”올해에만 전북에서 노동자 11명이 숨지는 등 산업재해가 이어지고 있지만, 솜방망이 처벌로 중대재해처벌법이 무력화됐다“면서 ”산재예방 조례가 실질적으로 작동하도록 전북자치도는 노동부, 안전보건공단과 함께 협의체를 구성하고 작업 중지와 과태료 부과 등 강력한 행정 처분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강 의원은 ”전날 고창군 무장읍성에서 보수작업을 하던 60대 노동자가 끼임 사고로 숨졌고, 지난 16일에는 세아베스틸 군산공장에서 배관 깔림 사망사고, 이튿날 익산시청 신청사 공사 현장에서는 크레인 해체 작업 중 추락 사망사고가 발생했다“며 "올해 전국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사망자 151명 중 전북지역 사망자 수는 11명으로 전체의 7%"라고 지적했다.
또 강 의원은 "전북지역 노동자는 전국의 약 3% 수준인데 노동자 수 대비 2배에 달하는 산업재해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면서 "전북자치도는 산업재해 예방과 노동안전 보건을 위한 조례가 있지만 중대 재해를 막지 못하고 있다"며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과 협의체 구성조차 되어 있지 않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강 의원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사망사고에 대한 사과와 철저한 진상조사를 비롯해 중대재해 전담 인력과 예산 확충, 사업장 위험요인 관리 감독 강화, 작업중지, 과태료 부과 등 강력한 행정처분, 중대재해처벌법·산업안전보건법 준수를 위한 강력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