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권희 “익산시민은 민주당이 두는 장기판 졸이 아니다...기형적인 선거구 변경 규탄”
총선 이슈
지난 2월 29일 선거를 불과 한 달여 앞두고 익산시 선거구가 무려 7개 읍·면·동이 변경되는 사태가 발생해 후폭풍이 거세다. 국회는 2월 임시국회 마지막 날인 29일 본회의를 열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중앙선관위 획정위)가 제출한 원안에서 일부 내용을 수정한 선거구 획정안을 반영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재석 의원 259명 중 찬성 190명, 반대 34명, 기권 35명으로 최종 확정했다.
“익산갑 5개 면 익산을로, 익산을 1개 면·동 익산갑으로 변경...주민들에게 단 한마디 묻지 않아”
이날 국회 문턱을 넘은 선거구 획정안 중에는 익산갑 지역에 있던 5개 면(웅포, 성당, 용안, 용동, 망성)이 익산을 지역으로, 익산을 지역의 삼기면과 영등2동이 익산갑 지역으로 변경됐다.
전북에서는 이 외에도 완주·진안·무주·장수 선거구와 남원·임실·순창 선거구가 조정돼 완주·진안·무주 선거구와 남원·임실·순창·장수 선거구로 조정됐다. 또한 김제·부안 선거구는 특례지역으로 지정돼 군산시 대야면과 회현면을 선거구에 포함시켜 군산·김제·부안 갑과 군산·김제·부안 을로 나뉘어 유권자들 사이에 혼선과 혼란이 곳곳에서 야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전권희 진보당 익산갑 예비후보는 5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미 민주당은 몇 개월 전에 익산 선거구 변경안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에게는 단 한마디도 알리지 않았고, 의견도 묻지 않았다”며 “선거구가 어떻게 되어도 당선에 지장이 없다는 민주당의 오만함의 표현”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가장 심각한 점은 시민들이 이제까지 지지했던 후보를 찍을 수 없게 되고,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후보를 찍어야 되는 상황”이라고 강조한 전 예비후보는 “익산시민은 참정권을 심각하게 침해당했고, 민주당에게 뒤통수를 제대로 맞았다”면서 “제가 살고 있는 동네도 을지역으로 날벼락처럼 바뀌어 버렸다. 그래서 사랑하는 부모님도 저를 찍을 수 없다”고 하소연했다.
그러면서 전 예비후보는 “익산시민은 민주당이 두는 장기판의 졸도 아니고 텃밭도 아니다”며 “이에 민주당 이춘석 후보에게 끝장 토론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그동안 전북에서 민주당 후보는 곧 당선된다는 자만심에 빠져 TV 및 신문사, 시민토론회를 선거 때마다 거부하는 모습을 보여왔다”며 “이번 선거에서 이춘석 후보가 이런 태도를 보이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한 뒤 “3월 7일까지 토론회 참가 여부를 밝혀줄 것”을 요구했다.
이춘석 “갑에서 을로 넘어간다 하더라도 함께 해주신 주민들 사랑 잊지 않을 것”
앞서 이춘석 민주당 익산갑 예비후보는 선거구 획정과 관련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익산은 애석하게도 전국에서 가장 적은 인구수로 2석을 지킬 수 있었다. 지킬 수 있었던 매직 넘버는 단 66명이었다”며 “그런 과정에서 갑·을 선거구의 개편이 불가피하게 됐고 의석 2개를 지키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시한 안이 현재의 선거구로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저와 16년간 같이 동고동락했던 북부지역인 웅포, 성당, 용안, 용동, 망성이 을지역으로 넘어가게 되었다”며 “비록 지금 갑지역에서 을지역으로 넘어간다 하더라도 그동안 함께 해주신 주민 여러분의 사랑을 잊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익산갑 선거구에서는 진보당 전 예비후보를 비롯해 민주당 공천을 받은 이춘석 전 의원, 국민의힘 소속 김민서 전 익산시의회 의원이 맞붙는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