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원 청소년 버스' 무산시킨 전북도의회 사과하라"...“사회 약자들 목소리 왜 제대로 듣지 않는가?”
현장 이슈
“청소년들이 비를 맞으며 108배를 진행하고 도의회 현관문에 항의 메시지를 붙였다. 청소년들의 간절한 호소에도 끝내 도의회가 반대해 청소년 100원 버스는 무산되었다...”
만 13에서 18세까지 청소년의 ‘100원 버스’ 전면 확대안이 결국 무산됐다. 기자회견과 서명운동에 이어 심지어 108배 운동으로 도입을 주장해 온 청소년단체의 목소리가 전북도의회에서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은 채 해를 넘기게 돼 도의회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전주시어린이·청소년무상교통추진위원회 “도의회, ‘절차 부족·전주시 제외’ 이유 100원 버스 예산 거부...규탄”
여성가족부 전북·전주청소년참여위원회와 전북도교육청 전북학생의회 등 전주시어린이·청소년무상교통추진위원회(추진위)는 14일 성명을 내고 “현재 도내 14개 시·군 중 부안군 청소년 버스요금이 100원, 전주·완주·익산·군산을 제외한 9개 시군은 500원인 가운데 익산은 2025년부터 100원 버스를 추진하고 군산은 지난 11월 20일부터 고등학생 대상 무상버스를 시행하고 있다”며 “전주와 완주는 계획조차 없어 청소년들은 올해 8월 ‘전주시어린이·청소년무상교통추진위원회’를 만들어 무상교통을 촉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추진위는 “전북도와 전북도교육청이 시·군과 함께 무상교통 예산 협의를 진행했고 최종적으로 무상은 아니지만 도교육청이 100원 버스 시행을 위해 500원 중 200원 지원 예산 7억 7,000만원을 본예산에 편성했다”며 “전주·완주는 추진 의사가 없어 지원대상에서 아예 제외됐다”고 밝혔다.
그런데 “도교육청과 달리 전라북도는 시·군과 협의 부족, 세수 부족 등을 이유로 예산을 반영하지 않았다”는 추진위는 “무상교통 실현을 위해 8월부터 청소년들은 서명운동, 기자회견, 문화제, 피켓시위, 시·도의원 면담 등 많은 노력을 했다”면서 “여러 노력 끝에 전북도가 100원 버스 예산을 수정예산에 반영하기로 했으나 도의회 문화건설안전위원회 의원들이 ‘절차가 부족했다’, ‘전주시가 빠져서 의미가 없다’며 100원 버스 예산을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추진위는 “전북도의회가 진정 시민들을 위해 존재하는지 묻고 싶다. 청소년들이 목소리 높이고 절실히 요구해서 100원 버스 실현을 눈앞에 두고 있었는데 그걸 가로막는 게 도민의 대표라니 분노를 참을 수 없다”며 “청소년들의 희망을 짓밟은 문화건설안전위원회 의원들은 반성하고 사과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추진위는 “청소년들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무상교통 실현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성희 의원 “청소년들의 작은 목소리 외면하는 도의회가 어찌 전북을 홀대하는 정부에 할 말 할 수 있겠느냐”
강성희 국회의원(진보당 원내대표·전주을)도 이날 “청소년 100원 버스 확대를 무산시킨 전북도의회를 규탄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10조원 가까이 편성된 전북도 예산 중 3억에 못 미치는 청소년 100원 버스 예산은 도의회의 반대로 결국 무산됐다”며 “우리 사회 약자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할 도의회가 제역할을 하고 있는지 따져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또한 강 의원은 “청소년은 전주시와 전라북도의 미래이자 성장의 동력이 될 주역이고 청소년 무상교통은 시혜가 아니라 미래에 대한 투자”라며 “논의가 부족했다는 핑계로 청소년들의 작은 목소리를 외면하는 도의회가 어찌 전북을 홀대하는 정부에 할 말 할 수 있겠느냐”고 물었다.
한편 전북도의회는 전북도가 제안한 100원 버스 시행안이 담긴 수정 예산안을 끝내 거부한 채 지난 13일 올해 마지막 본회의를 폐회했다. 현재 전주권 시내버스가 운행 중인 전주시와 완주군을 제외한 도내 12개 시·군은 ‘500원 버스(진안 등 9곳)’, ‘100원 버스(부안)’, ‘무료 버스(군산)’ 등을 도입했거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