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전북 뉴스 브리핑] ”전북 국회의원 현행 10석 유지 또는 그 이상“ 자신하던 지역 언론들, 이틀 만에 ‘풀죽은 보도’ 줄이어...근절되지 않는 전세사기·난폭운전, 왜?

전북 주요 방송·일간지 '특이뉴스' 엿보기-2023년 12월 6일

2023-12-06     박주현 기자

내년 4월에 실시될 제22대 총선을 4개월여 앞두고 선거구획정이 마감 시한(4월 10일)을 훨씬 늦추면서 미적거리다 이제야 윤곽을 드러냈지만 실망과 충격이 크다. 특히 전북지역은 선거구 획정안이 대폭 조정돼 국회의원 수 1석이 줄어들 전망이어서 후폭풍이 거세다.

한때 11명이었던 전북지역 국회의원 수가 인구 감소에 밀리면서 10명이던 것이 이제는 한 자릿수로 줄 것이란 소식이 전해지면서 정치권은 물론 도민들의 실망과 분노가 확산되고 있다는 보도가 줄을 잇고 있다.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국회의원 선거의 선거구 획정안'을 김진표 국회의장에게 5일 보고한 이후 전북지역 언론들은 불과 하루 전만 해도 현행대로 10석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1석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보도를 냈던 것과는 달리 9석으로 줄어들게 됐다며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하는 분위기다.

‘전북 국회의원 1명 감원’ 선거구 획정안 발표...지역 언론들 ”전북이 만만한가?“ ”결코 수용할 수 없다“

전북일보 12월 6일 홈페이지 초기화면(갈무리)

앞서 3일과 4일 지역 방송사와 일간지들의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 관련 뉴스들을 큼지막하게 내보면서 국회의석 수가 당초 예상보다 줄지 않고 기존 대로 유지될 것이란 분석들을 내놓았다. 대부분 지역 신문들은 10석 유지에 방점을 찍어 보도했고 전주MBC의 경우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아깝게 낙선한 후보를 비례대표로 구제하는 석패율제 도입 시 의석 수가 오히려 10석 이상이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서울과 함께 전국에서 유일하게 1석이 줄어들게 된 지역에 포함되자 어이없고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전북일보는 이날 발표 이후 인터넷판에 ”전북이 만만한가“란 제목과 함께 ”충격“이란 표현을 많이 사용했다. 신문은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를 거론했다.

신문은 해당 기사에서 ”전북의 경우 인구 하한선에 미달된 지역구는 남원·임실·순창과 김제·부안 두 곳이었다“며 ”인구 하한선에 미달된 지역구는 다른 시도에서도 적지 않았다. 특히 농어촌을 기반으로 하는 다른 비수도권 지역의 상황은 전북과 매우 비슷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왜 전북을 표적 삼아 의석수 1석을 감소시켰는지에 대한 도민들의 분노가 들불처럼 번지는 이유“라며 ”다른 비수도권 지역은 모두 의석이 그대로인데 전북만 1석을 줄인 이유에 대한 설명도 불충분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선거구 획정위원회가 국회로 보내온 선거구획정안은 공직선거법 제25조의 원칙과 합리성을 결여한 국민의힘 의견만 반영된 편파적인 안으로 결코 수용할 수 없다는 게 야당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국회 정개특위, 여야 협상 통해 전북 10석 확보할 수 있을 것“ 긍정 분석도

전북도민일보 12월 5일 인터넷판 기사(홈페이지 갈무리)

이에 대해 전북도민일보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정면 충돌이 예상된다“며 ”민주당은 이날 선거구획정위가 제출한 22대 총선 선거구 획정안에 대해 ‘원칙과 합리성을 결여한, 국민의힘 의견만 반영된 편파적인 안으로 결코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그런 뒤 기사는 ”정치권은 국회 정개특위와 여야간 협상을 통해 전북 10석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지난 21대 총선때도 선거구획정위의 선거구획정안에서 전북은 9석이었지만 국회 정개특위를 거치면서 10석이 됐으며 선거구획정도 전면 재조정됐다“고 낙관론을 내비쳤다.

그러나 전라일보는 벌써부터 책임론에 무게를 두었다. 신문은 관련 기사에서 ”이번 선거구획정위 의견이 확정안은 아니지만 결국 ‘올 것이 오고 있는 것 아니냐’는 정치권의 반발이 벌써부터 일고 있다“며 ”특히 전북의 마지노 선으로 여겼던 10개 의석 수가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는 수 차례의 경고등에도 이번 사안을 관망하고 있던 전북 정치권에게 비난의 화살이 모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구 하한선에 미달됐던 익산갑, 남원임실순창과 김제부안에 대한 선거구 지역 재조정 등을 지역 언론과 시민단체에서도 지적한 바 있다“고 상기시켰다.

”전북, 당초 2석 감소 예상“...”선거구 사수 여부, 전북 총선 민심 가를 전망“

전민일보 12월 6일 3면 기사(지면 갈무리)

전민일보는 ”이번 선거구 획정 결과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면서도 아예 일찌감치 예견하는 정치인들도 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신문은 해당 기사에서 ”정치권 관계자는 ‘연초 선관위 자료에서 전북은 당초 2석 감소가 예상된 상황이었다’며 ‘도내 인구가 감소하는 현실에서 아쉽긴 하지만 최선의 결과라고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는 내용을 인용해 보도했다.

KBS전주총국 12월 5일 뉴스 화면(캡처)

방송사들 중에서 KBS전주총국은 ‘선관위 획정안 ‘전북 1석 감소’…민주당 “절대 수용 불가”‘의 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은 특정 정당 편향적이라며 절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울러 기사는 “최근 김진표 국회의장이 지역구 의석 수 유지를 통보한 만큼 선거구 10곳 사수 여부가 전북의 총선 민심을 가를 전망”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전북 홀대론 심화될 전망”...“2016년 11석에서 10석으로 1석 줄었는데”

전주MBC 12월 5일 뉴스 화면(캡처)

전주MBC는 이틀 전 10석 이상도 가능할 것으로 보았던 것과 달리 ’전북 의석 1석 날아가나?.. 기형적 감축안에 반발 거세‘의 기사에서 “지방에서는 전북만 유일하게 선거구가 축소되면서 선거구 획정안이 편향적이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기사는 “선거구 획정안은 앞으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논의될 예정”이라며 “지역민의 정체성을 감안하지 않은 누더기 선거구에 지방 유일의 선거구 감소안을 받아든 가운데 전북 홀대론이 심화될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JTV 12월 5일 뉴스 화면(캡처)

JTV는 ’전북 10석 -> 9석...지역 정치권 '반발'‘의 기사에서 “이번 획정안에 대해서 국회 정개특위는 이의가 있을 경우 한차례 재획정을 요구할 수 있고, 최종 획정을 위해서는 여야 간의 합의가 있어야 한다”며 “전북의 의석수는 2016년에도 11석에서 10석으로 1석이 줄었다. 최후의 마지노선이라는 10석을 이번에는 전북 정치권이 과연 지켜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여운을 남겼다.

전북CBS·노컷뉴스는 ’선거구 획정안, 전북·서울 감소…유·불리 따라 국회 대립 예상‘의 기사에서 “국회로 넘어온 선거구 획정안은 추후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되며 이 과정에서 유·불리에 따라 정치권의 치열한 논의가 예상되고 있다”고 전망했다.

이처럼 전북지역 언론들은 선거구 획정안의 늦은 결정에도 불구하고 전북의 의석 수 감석을 담은 내용을 보도하면서 제각각 다른 잣대로 분석했지만 내심 불안과 초조감이 기사의 행간에 녹아들었음을 엿볼 수 있게 했다.

전세사기 속출...전주·군산·완주 전체 90% 차지

새전북신문 12월 6일 1면 기사(지면 갈무리)

한편 새전북신문은 “전주, 군산, 완주 등을 중심으로 전세사기 사건이 속출하면서 무주택 세입자들 주거안정에 빨간불 켜졌다”며 “특히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특별법 시행을 무색케 도내 피해자 대다수는 임대 보증금 반환이 어려운 담보신탁 사기에 당한 것으로 파악돼 그 법개정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해 시선을 끌었다.

신문은 6일 자 1면 ’“어떻게 모은 돈인데”…전세사기 속출‘이라 제목의 머리기사에서 “국토부와 전북도에 따르면 문제의 특별법이 시행된 지난 6월부터 11월 말까지 약 6개월간 전세사기 피해신고 상담창구를 찾은 전북지역 임차인은 모두 152명, 그 피해액은 약 100억원대로 추산됐다”며 “지역별론 전주(51명), 군산(51명), 완주(34명)가 전체 90% 가량을 차지했고 연령대별론 2·30대 청년층이 전체 53%(81명)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40대(34명)와 50대 이상(37명)이 뒤이었다”고 보도했다. 최근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완주군 삼례읍 아파트 전세사기 피해와 관련해서도 신문은 기사에서 언급했다. 

“임대사업자 부도, 또는 담보신탁 사기로 인한 보증금 미반환(80명) 사례가 전체 과반을 넘겼다”는 기사는 “지역사회에 파문을 일으킨 완주 삼례읍 A아파트와 군산 산북동 B아파트 파동이 대표적인 사례”라며 “완주 A아파트의 경우 담보대출을 위해 그 소유권을 신탁사에 넘긴 사실을 숨긴 채 세입자들과 직접 임대차 계약을 맺은 임대사업자가 빚을 못갚자, 채권자인 금융업체가 문제의 아파트를 공매 처분하기로 결정하면서 세입자들은 보증금 회수는커녕 당장 길거리에 나앉게 생겼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사는 “현재 피해신고 상담창구에 접수된 세입자만도 32명, 그 피해액은 약 13억원대에 이른다”며 “최근 경찰 수사가 시작된데다 문제의 아파트 세입자가 전체 100여 세대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피해자는 더 늘어날 것 같다는 전언”이라고 부연했다.

“전주 시내버스 난폭운전 여전”... 왜 개선되지 못할까?

전민일보 12월 6일 4면 기사(지면 갈무리)

이날 전민일보는 ’전주 시내버스 난폭운전 여전 ‘민원 빗발’‘이란 제목의 기사를 사회면 머리기사로 내보내 시선을 모았다. 기사는 “전주시가 시내버스 서비스 개선을 위한 여러 방책을 내놓고 있지만 여전히 시민들의 민원이 빗발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급정거, 급출발 등 난폭운전은 근절되지 않고, 이로 인해 매해 교통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다”고 리드에서 강조했다.

이어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0~2022년) 전주시 시내버스 교통사고는 총 161건에 이른다”는 기사는 “연도별로 보면 2020년 46건, 2021년 45건, 2022년 70건으로 지난해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면서 “또 지난해 전주시 시내버스 관련 불편 민원이 총 2020건으로 나타났다. 발생 건수 중 무정차가 710건으로 가장 많았고, 결행 등 355건, 난폭운전 321건, 불친절 308건, 승차거부 중도하차 56건 순이다”고 보도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