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현숙 도의원 "이차전지 염폐수 외해 방류는 바닷물 오염 초래...도민 모두 납득할 대책 마련하라“

지방의회 이슈

2023-11-21     박주현 기자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집적화 중인 이차전지 소재 생산공장 환경오염 예방대책과 이차전지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독성폐수의 해당 기업 셀프 처리와 외해 직방류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기사] 

시민단체들 “새만금 이차전지 폐수 ‘바다 방류’ 안될 말...공공 폐수처리장 신설 등 환경대책 마련하라“ 

새만금 이차전지 특구, 대기 문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 

오현숙 전북도의원(정의당·비례)은 20일 제405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에서 "이차전지 사업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처리 대책이 없다면 전북의 미래는 어두울 수밖에 없다"고 운을 뗀 뒤 "전북도는 정부에 1,300억원이 소요되는 새만금 이차전지 폐기물 시설에 대한 타당성 용역비 반영을 요구했다"며 "각종 문제가 드러나자 부랴부랴 용역을 발주한 것이어서 지탄받아 마땅하다"고 비판했다.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화학사고 빈번...대책 시급“

오현숙 전북도의원

오 의원은 이날 "기존에 운영되는 공공폐수처리장 증설로는 이차전지에서 배출하는 염폐수를 처리할 수 없다"며 "외해로 방류하는 대책은 바닷물의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 의원은 또 "올해 천보BLS공장의 화학물질 누출사고는 중국 이차전지의 새로운 공법을 적용하다 일어난 사고로 알려졌다"며 "예방과 사후조치로 화학사고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번 오염된 환경은 되돌리기 쉽지 않다. 후대를 위해 깨끗한 환경을 물려주는 것은 우리의 책무"라고 강조한 그는 “기업의 이윤 보장에만 급급하다보면 도민의 생존권은 심각히 위협받고 이후 세대에 깨끗한 환경을 물려주기도 힘들 것”이라며 “도민 모두가 납득 가능한 대책을 조속해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오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군산지역 산업단지 내 화학사고는 2021년 3건, 2022년 2건, 올해 현재 8건이다. 앞서 환경부는 “새만금에 그 폐기물 전용 매립장과 소각장은 신설하되, 폐수의 경우 염 농도가 너무 높아 기존 공공폐수처리장에선 처리할 수 없다”며 “기업체 스스로 문제의 폐수를 자가 측정하고 자가 처리(외해에 방류하는 식으로)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6일 새만금위원회에 보고해 논란을 일으켰다.

전북환경운동연합 등 지역 11개 시민사회단체는 14일 오전 새만금개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차전지 폐수 처리에 최적화한 공공 폐수처리장 신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사진=전북환경운동연합 제공)

이에 대해 지역 환경단체 등 11개 시민사회단체들은 14일 새만금개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만금위원회의 군산 국가산단 폐수처리장 증설과 폐수를 방조제 바깥에 방류하는 방안은 기업의 비용 절감과 이윤 보장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기업에 이차전지 폐수 관리와 처리를 맡기고 방조제 바깥 바다에 버리는 것은 연안 생태계 오염과 환경사고 발생 위험을 키운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민사회단체들은 "새만금 산단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최적화 된 이차전지 전용 폐수처리장 신설 계획을 수립하고 오염물질 배출 특성을 고려한 환경오염 방지 및 관리대책 마련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