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천년사’ 발간 반대 단체, 김관영 지사 '고발'...갈등·분열·혼란 지속, 시민들 "이제 그만하고 양단 간에 결정을”

초점 이슈

2023-09-28     박주현 기자

‘전라도 천년사’ 발간 중단과 폐기를 주장해 온 단체가 김관영 도지사를 배임 혐의로 고발하는 등 갈수록 갈등과 혼란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장기간 이러한 파행이 지속되고 있는데 대해 시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 

‘바른역사시민연대(상임대표 나간채)’와 ‘전라도천년사 폐기 역사바로세우기 전북도민연대(준)(위원장 김영일)’는 "‘전라도 천년사’ 편찬사업 주관 지방자치단체인 전북도가 위탁사업자를 지정하면서 일반경쟁입찰 방식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체결해 지방계약법 등을 위반한 의혹이 있다”며 "지난 25일 전북경찰청에 김 지사 등을 형사고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수의계약 대상 아님에도 수의계약 체결...지방계약법 위반 의혹” 주장

'전라도 천년사' 총설 집필본 표지(사진=전북도 제공)

이들 단체는 “지난 2018년 전북도·전남도·광주시가 24억원을 들여 공동으로 시작한 ‘전라도 천년사’ 편찬 추진 과정에서 수의계약 대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수의계약을 체결했다”며 지방계약법 위반 의혹 등을 주장하고 엄정한 수사를 요구했다.

이어 “전북도는 법령에 위반해 체결된 ‘전라도 천년사’ 계약 이행을 중단하고 법령에 적합하도록 시정해 전북도 등이 추가 재산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행정적 법적조치를 했어햐 한다”면서 “그러나 전북도는 행정적, 법적 시정조치를 취하지 않고 오히려 편찬사업을 강행했다”고 단체는 주장했다. 

또한 단체는 “‘전라도 천년사’ 편찬사업을 추진하면서 학계와 시민사회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지 않았다”며 “전북도의 무리한 사업추진에 법적 책임을 추궁하기 위해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3개 시·도청 앞서 “전라도 천년사 폐기 결단” 촉구

바른역사시민연대 나간채 상임대표 등 관계자들이 25일 광주시청 앞에서 '전라도 천년사' 발간 반대를 주장하며 투쟁을 벌이고 있다.(사진=바른역사시민연대 제공)

앞서 '전라도 천년사' 발간 반대 및 폐기를 주장해 온 단체들은 지난 5일과 15일, 21일 전북도청 앞에서 ‘전라도 천년사 폐기 촉구’ 집회를 실시한데 이어 지난 22일부터 광주시청 앞에서 노숙 농성을 하며 “강기정 광주시장의 ‘전라도 천년사 폐기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이밖에 전북과 전남도청 앞에서 1인 시위 등을 벌이고 있는 이들 단체는 "’전라도 천년사‘가 역사 왜곡 등으로 호남의 명예에 먹칠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전북도와 광주시는 ‘발간 찬성’ 입장을, 전남도는 ‘발간 반대’ 입장을 각각 표명하고 있어 3개 시·도가 최종적으로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편찬위 “이의 제기 포함 본책 34권 별책 1권 등 35권 출간 계획”

앞서 지난 19일 전북도와 광주시, 전남도,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회(편찬위)에 따르면 전북도는 최근 '전라도 천년사 편찬 사업 종료'를 알리는 공문을 광주시와 전남도에 보냈다. 전북도는 해당 공문을 통해 ‘전라도 천년사 편찬 사업을 오는 30일 안에 마치겠다’는 입장을 전하며 편찬 사업을 마무리하기 위해 전북도, 전남도, 광주시 부단체장들이 참석하는 연석회의를 지난 15일 열 계획이었다. 하지만 전남도가 불참을 통보하면서 대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전북도와 광주시는 ‘더 이상 발간을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인 반면 전남도는 다소 신중론을 보여 막바지 조율이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북도와 광주시는 식민사관 의혹 등을 제기해온 시민단체의 의견을 반영해 기존 전라도 천년사 34권 외에 1권의 별책을 만들어 이들의 의견을 담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전북도와 광주시는 전라도 천년사 제작에 24억원 상당의 예산이 투입된 만큼 추가 예산을 들여 시민단체 등의 의견을 수정해 재발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별책과 함께 이달 중 발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편찬위는 지난달 15일에도 '시·도민 온라인 설명회'에서 "공람기간에 들어온 이의 제기 157건을 별책에 담아 전라도 천년사를 펴내겠다"고 밝혔다. 따라서 본책 34권에 별책 1권을 포함해 모두 35권을 출간한다는 계획이다.

시민들 “천년사가 오히려 갈등·분열...양단 간 결정을”

그러나 이를 바라본 시민들 시선은 싸늘하기만 하다. 시민들 사이에는 “많은 예산을 들여 만드는 전라도 천년사가 오히려 갈등과 분열, 혼란을 부추기는 꼴이 됐다”며 “당장 발간 작업을 멈추든지, 반대 의견을 대폭 수렴해 어떤 형태로든 발간하든지 양단 간에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전라도 천년사'에는 '전라도'라는 명칭이 생긴지 1,000년을 기념하기 위해 호남권 3개 시·도가 공동 제작한 역사와 문화, 예술 등 각 분야의 전문가 234명이 집필진으로 참여했다. 모두 34권 1만 3,559쪽에 달하는 전라도 천년사는 선사·고대, 고려, 조선 전기, 조선 후기, 근대, 현대 등 시대별로  정리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