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청, "용담호 유역 조류경보 '경계'로 상향"...옥정호 주민들 ”우리는 왜 발령 안하나?“ 불안·불만 호소
이슈 현장
전북지역 광역상수원인 용담호의 조류경보가 '관심'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 발령됐지만 녹조현상이 심각한 옥정호는 조류경보 발령 등의 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주민들의 불만과 불안이 커지고 있다.
전북지방환경청은 7일 오후 3시 유역에 조류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 환경청은 이날 “용담호 유역의 유해남조류 세포 수가 '경계' 단계 발령 기준인 1만 세포/㎖를 2회 연속 초과해 조류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며 “올여름 집중호우(6월 25일~7월 25일) 때 848㎜의 비가 내려 다량의 영양물질 유입됐으며, 폭염에 따른 수온상승(표층 27℃)과 일조량 증가까지 겹쳤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환경청 “조류 모니터링, 먹는 물 정수처리 강화 등 적극 이행” 요청
환경청은 아울러 '경계' 발령 상황을 관계기관에 신속히 전파하고, 조류제거와 오염원 관리를 강화하는 등 관련 기관에 조류 모니터링과 먹는 물에 대한 정수처리 강화 등 조치사항을 적극 이행할 것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한국수자원공사는 경계 단계 발령 이후 수질 분석을 주 1회에서 주 2회 이상으로 강화해 조류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원수 취수 시 조류 영향이 없도록 선택 취수, 활성탄 투입 등 정수처리공정을 강화하기로 했다.
전북도는 이와 관련 용담댐 인근의 대규모 축사 등 가축분뇨 관련시설 300여 개소와 방치축분 점검, 개인하수처리시설 32개소를 시군과 함께 집중 점검하고, 관련 시군에 용담댐으로 유입되는 하수처리시설 48개소에 대해 총인(물속에 포함된 인의 농도)처리 강화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똑같은 녹조현상 ‘옥정호’, 조류경보 발령하지 않은 채 ‘맑은 물 공급한다’는 말만...불안”
그러나 녹조현상이 심각한데도 조류경보가 발령되지 않은 옥정호 인근 주민들은 불안하다는 반응이다. 주민들은 “옥정호나 용담호나 똑같은 녹조라떼현상인데 환경부의 녹조대응 방안이나 전라북도 방안은 다를 게 없다”며 “행정 당국은 맑은 물 공급을 위한 물 공급체계를 확립한다는 말만 되풀이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 지역환경운동가인 강희옥편 씨는 옥정호의 심각한 녹조현상을 사진과 함께 연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고발·호소하며 “옥정호 녹조검사에 문제 제기하지 않는 사람은 '황녹색 지역 정치인'들 뿐"이라며 "언론들은 환경부의 친절한 대변인 노릇하느라 애쓴다”고 꼬집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