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잼버리 파행' 책임 규명 없고 정쟁·정치화 ‘극심’..."눈도장 삭발" 지적도
[뉴스 큐레이션] 2023년 9월 7일
새만금잼버리 파행 책임 규명이 여야 극한 정쟁으로 치닫으면서 불똥이 새만금사업 예산 삭감으로 이어진 가운데 전북 정치권에 거센 후폭풍으로 작용하는 양태다.
특히 새만금사업 예산 삭감에 격분한 지역 원로 정치인들이 거세게 반발하자 전북도의회 의원들이 삭발 및 단식투쟁에 줄줄이 나선데 이어 민주당 지역 현역 국회의원들과 당직자 등은 국회 앞에서 ‘윤석열 정부 새만금 예산 삭감 규탄대회’를 여는 등 점차 강도가 세지고 있다.
"새만금사업 예산 원상회복" 요구 삭발·단식 이어 서명운동, 상경집회 등 예고
특히 국회 앞 규탄대회에서 한병도 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을 비롯한 전북지역 민주당 소속 지역구 현역 국회의원 8명 전원이 새만금 예산 삭감에 항의해 삭발을 강행한다는 소식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부 지역 언론들은 이와 관련 "대한민국 헌정사상 광역단체 지역구 국회의원 전원이 정부의 무차별적 예산 삭감에 항의해 삭발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것"이라고 큼지막하게 보도했다.
6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7일 국회 본청 계단에 열릴 예정인 전북지역 민주당 국회의원들과 지방의원 등 2,000여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규탄대회에는 현재 1주일째 단식 농성 중인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일부 당 관계자들도 함께할 예정인 가운데 정부의 새만금사업 재검토와 새만금 SOC 예산 삭감이 주된 성토 의제가 될 전망이다.
이날 규탄 행사 외에도 다음주에는 전북지역에서 지방의원들과 각계 단체들이 참가하는 대규모 집회가 연이어 예정돼 있다. 특히 정부의 새만금사업 예산 삭감에 항의해 집단 삭발 등 초강수를 두고 있는 전북도의회가 앞장선 이번 지역 정치권의 대정부 투쟁은 새만금사업 예산 원상 회복을 위한 삭발·단식에 이어 도민 대상 서명운동과 상경집회 등이 예고됐다.
원로 정치인들 '성토' 이어 도의원들 삭발·단식...뒤늦은 국회의원들 투쟁 합류 '눈총'
앞서 지난 4일 전북 정치권 원로들은 모처럼 한자리에 모여 정부가 내년도 새만금사업 예산을 삭감한데 대해 날선 비판과 성토를 이어갔다. 서울의 한 호텔에서 진행된 이날 모임에는 김원기 전 국회의장,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정세균 전 국무총리,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 김덕룡 전 민주평통 상임부의장, 신상훈 전 신한은행장, 김홍국 재경전북도민회장 등 전북도민회 소속 원로들과 김관영 전북지사 등이 참석했다.
이어 5일 전북도의원 14명은 도의회 청사 앞에서 '새만금잼버리 파행의 전북책임론과 이에 대한 보복성 새만금사업 예산 삭감에 반발하는 삭발투쟁'에 이어 '릴레이 단식투쟁'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삭발투쟁 참가자가 당초 예고했던 인원보다 점점 늘어나고 현역 국회의원들이 뒤늦게 삭발 대열에 합류하는 모습에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리고 있다.
일부 도민들 사이에서는 “새만금잼버리 파행의 책임 규명은 사라지고 엉뚱한 쪽으로 정치 쟁점화되고 있어 안타깝다”며 “이런 와중에 지역 국회의원들이 뒤늦게 투쟁에 참가하는 모습은 내년 총선을 의식한 눈도장 찍기로 비쳐지기 십상이다”고 쓴소리를 내뱉고 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