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기자들, 윤 대통령 ‘낙제점’ 평가...85% “대언론 소통 잘못", 79% "국정수행 잘못”
언론계 이슈
취임 2년차인 윤석열 대통령이 현직 언론사 기자들로부터 받은 점수는 얼마나 될까? 결과는 참담하다. 대언론 소통을 긍정하는 기자는 10명 중 1명에 불과했고 국정수행 평가에서도 낙제점을 받았다.
기자협회보가 한국기자협회 창립 59주년을 맞아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기자 994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7일까지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기자들 10명 1명만 대언론 소통 ‘긍정’ 평가...52.8% “매우 잘못” 평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의 대언론 소통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9.9%만이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잘하는 편이다’는 8.6%였고, ‘매우 잘하고 있다’는 1.3%에 그쳤다. 이에 반해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85.1%로 나타났다. 이 중 ‘매우 잘못하고 있다’가 52.8%, ‘잘못하는 편이다’는 32.3%였다. ‘잘 모르겠다’는 5%였다.
응답을 성별, 언론사 유형, 소속 부서별로 살펴봐도 대부분 부정 평가(80~90%대)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지역별로는 제주지역 응답자의 100%가 정부가 대언론 소통을 잘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어 강원 96.2%, 충청권 94.5%, 전라권 90.8%, 서울 85.5%, 경기/인천 77.6%, 경상권 74.3% 순으로 부정 평가를 내렸다.
이밖에 윤석열 정부에서 언론 활동이 자유롭지 않다고 응답한 628명에게 그 이유(복수응답)를 물은 결과 ‘언론사에 대한 압박(감사원 감사, 방통위의 검사·감독 추진 등)’이 가장 많은 선택(68.5%)을 받았다. 다음으로 ‘기자에 대한 유무형의 압박(고소, 고발, 출입 배제 등)’ 64.5%, ‘언론과의 소통 부족’ 64.2%, ‘무리한 언론 정책 추진(KBS·EBS 수신료 분리징수, YTN 민영화, TBS 예산 삭감 등)’ 59.6%, ‘언론 유관기관(방통위, 언론재단 등)에 대한 압박과 업무 자율성 침해’ 45.7%, ‘부적절한 인사 임명 강행’ 43.5%, ‘포털에 대한 지나친 개입’ 25% 등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자 79% "윤 대통령, 국정수행 잘못하고 있다"
한편 이번에 조사한 여론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79.1%가 ‘윤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매우 잘못하고 있다’는 45.1%였고 ‘잘못하는 편이다’는 34%였다. 반면 ‘잘하고 있다’는 의견은 16.5%였다. ‘잘하는 편이다’ 13.5%, ‘매우 잘하고 있다’ 3%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4%였다.
흥미로운 것은 기자들 정치 성향에 따라 국정수행 평가는 큰 차이를 보였다는 점이다. ‘윤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보수’ 성향 기자들에서 48.5%였지만, ‘진보’ 성향 기자들에선 1.6%에 불과했다. 자신을 ‘중도’라고 밝힌 기자들도 15%만이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호평했다. 오차 범위 내이긴 하지만 결과적으로 보수 성향에서만 긍정 평가(48.5%)가 부정 평가(46.2%)를 앞질렀다.
수신료 분리 징수 이념적·지역별 응답 갈려
정부가 올해 추진한 정책 가운데 언론계와 직결된 것 중 하나인 수신료 분리 징수와 관련해서도 성향별로 평가가 극명하게 갈렸다. 진보 기자들의 76.9%는 ‘추진 과정이 잘못됐다’고 응답한 반면, 보수 기자들 중에선 18.9%만 그렇게 답했다. 기자들의 근무지역에 따른 응답도 다소 차이가 있었다.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 과정이 잘못됐다’는 응답은 전라권에서 72.4%로 가장 높았고 충청권(60%), 서울(53.3%)과 강원(50%)은 평균치와 인접했다. 그러나 경상권(47.8%)과 제주(46.2%), 경기·인천(43.1%)은 낮은 편이었다.
수신료 분리 징수의 사회적 여파를 부정적으로 평가한 533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복수응답) 73%가 ‘공영방송의 공적 역할 위축(사회적 소수자 목소리 반영, 국제방송, 재난방송 등)’을 꼽았다. ‘공영방송 제도 취지 훼손’ 57%, ‘언론통제 우려에 따른 불안감 조성’ 54.4%, ‘공영방송의 상업화로 언론 광고시장 왜곡’ 53.1%, ‘분리징수 시행에 따른 추가 비용 발생으로 세금·KBS 재원 낭비’ 45%, ‘구성원 고용 불안 야기’ 16.9% 등의 순서로 나왔다.
반대로 긍정 평가를 내린 327명은 ‘공영방송 방만 경영 해소’(73.4%)를 가장 큰 이유로 선정했다. 이어서 ‘수신료 재원 낭비 방지’ 45%, ‘수신료에 대한 관심과 권리의식 향상’ 36.1%, ‘공영방송 공정성 강화’ 34.6%, ‘국민 불편 해소’ 27.5%, ‘공영방송 제도 재정립’ 26% 등이 언급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기자협회보가 여론조사기관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한국기자협회 소속 회원 1만 1,136명 가운데 문자 발송에 성공한 1만 7,77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7일까지 모바일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 참여자는 994명으로 응답률은 9.2%이며 신뢰수준 95%에 오차범위는 ±3.11%포인트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