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담론 잠식, 건강한 비판 수용하지 못한 '전북의 현실'이 잼버리 사태 초래”
민주노총 전북본부 논평 발표
‘제25회 새만금 세계 스카우트잼버리대회’(새만금잼버리)가 개영 1주일 만에 K-관광으로 대체되는 희극적 파행에 대한 책임은 개발 욕망에 잠식된 사회적 구조라는 지적이 나왔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10일 논평을 통해 ”새만금 잼버리는 전‧현 정부가 모두 관여했고 장관들이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대통령까지 행사에 참여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야를 막론하고 성찰과 사과는 없이 네 탓만 늘어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노총 “잼버리를 K-관광 파행으로…개발 욕망 잠식된 우리 사회 반성·성찰 필요”
이어 논평은 ”특히 행사 파행에는 정부 부처의 책임을 면하기 어렵지만 정작 정부는 모든 책임을 전라북도로 돌리며 잼버리를 K-관광으로 대체시키는 희극을 벌이고 있다“며 ”잼버리 행사의 취지는 조금도 고려하지 않은 졸속 조치다. 위기 대응 능력이 아니라 위기 은폐 능력일 따름이다“고 덧붙였다.
또한 ”아무런 반성과 성찰 없이 당장의 문제만 덮고 보자는 식의 태도가 새만금잼버리 파행을 비롯한 각종 재난을 유발하는 원인“이라고 지적한 논평은 ”여러 언론이 지적하듯 잼버리는 새만금 갯벌을 신속하게 매립하고 SOC를 유치하기 위한 대외적 명분이었다“며 ”여‧야 모두가 새만금 사업을 이용해 수십년 째 표심 얻기에 골몰했고, 잼버리는 새만금 사업을 앞당기는 정치적 치적으로 활용됐다“고 꼬집었다.
"불과 열흘 전 새만금잼버리 행사에 우려 표하면 '재 뿌리지 말라'는 소리 듣는 지경"
그러면서 ”결국 잼버리 행사가 파행에 이른 과정을 복기하려면 평가는 새만금 사업 그 자체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한 논평은 ”30년 째 새만금 사업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전라북도의 인구와 경제 규모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며 ”개발 사업의 이익은 토호‧토건세력에게 돌아갔을 뿐 전북도민의 삶과는 무관했다. 그래서 토건사업을 비판하고 나서면 전라북도 발전을 가로막는 세력으로 딱지 붙여지곤 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논평은 ”불과 열흘 전 만해도 새만금잼버리 행사에 우려를 표하면 재 뿌리지 말라는 소리를 듣는 지경이었다“며 이렇듯 개발담론에 잠식 당해 건강한 비판을 수용하지 못하게 된 전북지역의 현실이 잼버리 사태를 초래했다”고 명토박았다.
끝으로 논평은 “새만금 사업부터 잼버리 유치와 준비, 그 행사의 운영까지 진지한 성찰과 평가가 필요하다”며 “민주당, 현 정부‧여당 모두에게 책임이 있으며 한국 사회 전체의 성찰이 필요한 대목도 있다. 부디 이번 잼버리 사태가 상처로만 남지 않고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는 성찰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