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대한방직 부지 서식 '맹꽁이들' 다 어디로?...”전문가 확인 없이 '이주 계획' 신뢰 의문, 전면 재검토를“

이슈 초점

2023-07-26     박주현 기자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전경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내에 서식한 맹꽁이 보호 및 이주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전북환경운동연합과 한승우 전주시의원은 25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옛 대한방직 서식 맹꽁이 이주 허가 전면 재검토'를 촉구해 주목을 끌었다.

”맹꽁이 포획 및 방사 허가 관련, 전 과정 상식적으로 납득 안 돼“

이들은 “지난 7월 10일, 전북지방환경청이 ㈜자광이 신청한 옛 대한방직 부지 내 맹꽁이에 대한 포획 및 방사 허가를 내줬다”면서 “하지만 포획 시기와 방법, 절차 등 맹꽁이 포획 및 방사 허가 관련 전 과정이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포문을 열기 시작했다.

또한 "국립생태원 전문가의 현장 확인 절차가 없었다"는 점을 참석자들은 문제 삼았다. 특히 "옛 대한방직 터 전체 구간에서 맹꽁이 서식이 확인됐고, 부지 내 원형 보전이 아닌 외부 이주 방사 허가 신청인데도 현장 조사를 하지 않은 것은 부실한 허가"라고 주장했다.

“현장 확인 요청에도 문 열지 않아...신뢰 의문”

전북환경운동연합과 한승우 전주시의원은 25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방직 서식 맹꽁이 이주 허가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날 참가자들은 “지난 5월 31일 비가 내린 후 짝짓기와 산란이 시작될 것을 알고 관계 기관에서 현장을 확인 방문했지만 연구용역 업체는 현장에 오지 않았다"며 “이 같은 공백을 메울 현장 조사임에도 막무가내로 조사를 거부한 업체의 결과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맹꽁이 현장 확인 요청에도 문을 열지 않아 불만과 의구심을 더욱 가중시킨 결과다. 앞서 지난 10일 전북지방환경청은 (주)자광이 신청한 옛 대한방직 부지 내 맹꽁이에 대한 포획 및 방사 허가를 내주면서 ‘허가 기간은 10월 30일까지, 이주 완료 보고서 제출은 11월 5일까지’로 제한했다.

그러나 전북환경운동연합과 한승우 시의원은 서식지 내 원형 보전 방안의 추가와 포획 시기의 변경을 요구하며 적절한 대체 서식지의 선택을 강조하고 있다.

5월 ‘맹꽁이 서식지’ 대거 발견..."정밀조사 필요“ 제기했음에도

전북환경운동연합이 지난 5월 29일 옛 대한방직 부지 경계 청음조사로 확인한 맹꽁이 서식지. 사진 1번, 7번, 8번이 올해 새로 확인된 맹꽁이 서식지.(사진=전북환경운동연합 제공)

앞서 완산구는 지난 3월 6일부터 4월 17일까지 법정보호종인 맹꽁이 조사용역 보고서에 대해 전문가로부터 자문을 받은 결과, 맹꽁이가 출몰하는 6월부터 8월에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특히 장마철에는 주 3회 이상 집중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완산구는 당시 공사 중단 요청과 함께 야생동식물Ⅱ급인 맹꽁이 보호를 위해 ‘옛 대한방직 부지 폐공장 철거에 따른 법종보호종(맹꽁이) 조사 용역 보고서 및 처리계획’ 등의 제출을 요구한 것. 이에 따라 시행사인 (주)자광이 오는 8월까지 진행할 예정인 맹꽁이 서식 정밀조사 결과와 함께 보호 대책 등을 검토한 뒤 착공 허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와는 별도로 최근 전북환경운동연합과 한승우 시의원은 많은 비가 내렸던 지난 5월 29일 밤 청음조사를 실시한 결과, 완산구청이 맹꽁이 서식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했던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서측 부지를 포함해 8곳에서 맹꽁이 울음소리가 관측됐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전북환경운동연합과 한승우 시의원이 옛 대한방직 터 주변의 울타리 구간에서 청음조사를 통해 발견한 8개 지점 중에는 그동안 확인되지 않았던 곳이 있는가 하면 환경단체 등이 현장조사를 하려고 했지만 시행사인 ㈜자광의 반대로 하지 못했다는 점 등 때문에 정밀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더욱 무게가 실렸다.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서측 부지 포함 8곳서 맹꽁이 울음소리 관측“ 

당시 울음소리 등을 통해 확인된 맹꽁이 서식처로는 옛 대한방직 철거공사 부지의 동쪽 4곳과 서쪽 2곳, 남쪽과 북쪽 각 1곳 등으로 모두 8개 지점이었다. 따라서 전북환경운동연합과 한승우 시의원은 “맹꽁이 서식지 실태조사와 보호대책 마련을 위한 민관 공동조사단을 꾸리고, 투명한 조사와 상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부지 내 전체에서 맹꽁이 서식이 확인됐기 때문에 8월 말까지는 전체 정밀 생태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따른 부지 특성과 보존 계획을 수립한 이후에 공사 재개 여부를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런데 전북지방환경청은 (주)자광이 신청한 옛 대한방직 부지 내 맹꽁이에 대한 포획 및 방사 허가를 내주면서 논란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