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전북 선거구'...남원·임실·순창 떠난 이용호 의원 '지각변동' 서막, 정치권 '10석 붕괴 위기' 고조
진단
국민의힘 내 유일한 호남 지역구 의원인 이용호 의원이 남원·임실·순창 지역구를 버리고 서울로 떠난 데 대한 실망과 분노가 지역구에서 거세게 일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에선 이에 대한 해석과 원인 분석이 다양하다.
비록 이 의원은 "당협위원장직을 내려놓더라도 남원·임실·순창 국회의원으로서 책무는 끝까지 다하겠다"고 밝혔지만 내년 4월 치러질 제22대 총선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높다. 특히 남원·임실·순창 지역구가 인구 하한선에 미달해 선거구 존치 가능성이 희박해지는 상황에서 이 의원이 서울 마포갑 당협위원장에 지원, 지역 정치권에 불안감이 더욱 고조되는 분위기다.
이용호 “남원·임실·순창 인구 하한선 미달, 선거구 변화 불가피...결단 내릴 계기” 인정
이러한 분석과 지적을 뒷받침하기라도 하듯 30일 이 의원은 언론들과의 인터뷰에서 "남원·임실·순창이 인구 하한선에 미달해 선거구 변화가 불가피한 이때가 새로운 결단을 내릴 계기라는 생각에 지난 22일 국민의힘 남원·임실·순창 당협위원장직을 사퇴했다"고 밝혔다. 역시 불안한 선거구를 의식했음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지역 선거구 변화에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전북 국회의원 의석수 10석 유지가 불안한 가운데 당장 인구 기준 하한선에 미달되는 지역이 비상에 걸렸다. 전북에서 인구 하한선에 미달되는 지역은 남원·임실·순창 외에도 익산갑과 김제·부안 3곳의 지역구다. 따라서 현재 10석인 전북지역 국회의원 의석수가 붕괴될 위기에 처했다는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가뜩이나 국민의힘에서는 김기현 대표가 내놓은 '국회의원 정수 10%(30명) 감축' 당론 추진에 공감대를 형성하는 분위기다. 국회가 의원 정수 축소라는 자구책을 통해 잃었던 국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와는 상관없이 현재의 인구 분포만을 놓고도 전북은 다른 지역에 비해 국회의원 수가 상당히 부족한 형편이다.
이런 와중에 인구 하한선 미달 지역인 남원·임실·순창 지역의 이용호 의원이 22대 총선 선거구 획정이 마무리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지역구를 떠났다. 지레 겁을 먹고 이탈한 것과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까닭이기도 하다.
남원·임실·순창, 익산갑, 김제·부안...인구 하한선에도 미치지 못해 선거구 유지 불안 속 다양한 '시나리오' 등장
전북이 유난히 선거구 변화 여부에 관심이 고조될 수밖에 없는 것은 갈수록 인구 감소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20년 치러진 21대 총선 당시 인구기준은 하한 13만 9,000명, 상한 27만 8,000명이었으나 전북의 국회의원 수가 현재대로 10명으로 유지될 경우, 남원·임실·순창과 익산갑, 김제·부안은 인구 하한선에도 미치지 못하게 된다.
지난 5월 말 기준 남원시, 임실군, 순창군의 인구 합계는 13만 544명(남원시 7만 7,415명, 임실군 2만 6,274명, 순창군 2만 6,855명)에 불과하다. 김제시와 부안군의 인구수도 13만 1,788명(김제시 8만 1,883명, 부안군 4만 9,905명)으로 하한선에 미달된다.
또한 익산갑 선거구는 지난 1월 31일 기준 13만 674명으로 하한선에 훨씬 미달됐다. 익산 전체 인구가 분구 기준이 넘은 27만 3,266명이어서 전주처럼 익산갑과 익산을의 인구를 조정해 2개의 선거구를 유지하면 되지만 조정 논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어떤 변수가 작용할지는 미지수다.
이 때문에 전북지역 인구 하한선에 미달되는 3곳의 지역구는 의석수가 10석으로 유지된다 해도 다른 지역과의 통폐합이나 조정이 불가피하다. 정치권에서는 완주·진안·무주·장수에서 완주군을 떼내 임실·순창군과 묶고, 남원시를 진안·무주·장수군과 한 선거구로 변경하자는 논의가 우세하다. 또 익산갑은 익산을과, 김제·부안은 군산과 연결하면 선거구를 유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 지연...선거 입지자들 ‘불안’
이 외에도 전주·익산(5석), 새만금 경계에 있는 군산·김제·부안(2석), 완주·순창∙임실(1석), 남원·진안·무주·장수(1석), 정읍·고창(1석)으로 조정해야 한다는 조정안도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그런데 또 다른 난제가 놓였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내년 국회의원 선거구는 이미 지난 4월에 획정됐어야 하지만 선거제도 개편이나 선거구 획정 시한을 어기며 늦어지고 있다. 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은 올 하반기 정기국회에 들어가서야 본격 논의될 전망이다.
현재 전북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는 전주갑·을·병(3석), 익산갑·을(2석), 군산(1석), 완주·진안·무주·장수(1석), 남원·임실·순창(1석), 김제·부안(1석), 정읍·고창(1석) 등 10석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서 내년 총선 출마를 염두에 둔 입지자들은 마냥 불안하기만 하다.
선거구 획정과 의석수 조정 등이 큰 변수로 남아 있는 가운데 내년 4월 10일 치러질 22대 총선에서 전북이 현행 10곳의 선거구를 지켜낼지가 지역 정치권의 최대 관심사다. 이에 대해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은 “인구 감소와 수도권 중심의 정책으로 전북 등 지방이 갈수록 어려워 지고 있다”며 “지역 대표성을 갖고 있는 국회의원수 마저 줄어든다면 지방은 미래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