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 '시 승격'·전주시 '신청사' 추진, 완주-전주 통합 역행?“...민간단체 요구, 행정 받아들일까?
[뉴스 큐레이션] 2023년 3월 10일
전북지역에서 보기 드물게 '인구 증가'를 이유로 시(市) 행정 승격을 추진하는 완주군과 비좁은 청사 건립 문제로 고민해 오다 제2청사 건립을 추진하는 전주시가 양 지역 통합 흐름에 역행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완주·전주상생발전협의회는 9일 “완주군은 지난 2일 김관영 도지사에게 ‘전북특별자치도법’에 완화된 시 승격을 규정하는 특례를 부여해 완주군을 시로 승격하는 발판을 마련해달라고 건의했다”며 “김관영 지사는 이 자리에서 완주군의 미래 발전을 위해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해당 기사]
완주군 ‘시 승격’ 추진, 전북도에 공식 요청?...'전주와 통합'은 어떻게?
“통합에 대한 열망 살피지 않고 시 승격 운운?”
이어 협의회는 “군민의 통합에 대한 열망을 살피지 않고, 완주시 승격을 운운하는 것은 통합의 시대적 흐름을 거스르는 것”이라며 “이는 완주 지역에 도사리고 있는 기득권 보호에 지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또한 협의회는 최근 전주시 제2청사 계획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협의회는 “전주시가 812억원을 들여 2026년까지 현 시청사 옆에 제2청사를 짓기로 한 것은 완주·전주 통합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통합시 청사 위치는 완주·전주 통합에 중대한 변수인 만큼 추진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완주·전주 통합을 적극 추진할 것을 전북도와 전주시, 완주군에 강력히 촉구한다“며 ”통합을 이루고 전북특별자치도의 발전을 앞당기는 것은 온전히 전북도와 전주시, 완주군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완주·전주상생발전협의회는 지역 각계 원로 등으로 구성된 협의회로 지난 2021년 6월 발족한 이후 활동을 벌이는 민간단체다.
유희태 군수 "인구 10만명 돌파...'전북 4대 도시' 대도약" 약속
앞서 유희태 완주군수는 지난 2일 완주를 찾은 김관영 도지사에게 “완주군은 인구 증가 등 도시 행정 수요가 폭증해 시 승격을 위한 전북특별자치도법상 특례 규정 명시가 필요하다”며 “전북특별자치도 완주시 승격 특례 부여와 불합리한 농업진흥지역 제도 개선을 위한 농업진흥지역 해제 권한 특례 부여가 요청된다”고 건의했다.
유 군수는 지난 1월 언론과의 신년 인터뷰에서도 시 승격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유 군수는 언론과 신년 인터뷰 때마다 "완주군이 인구 10만명 돌파를 앞두고 새해에는 '전북 4대 도시' 대도약의 시대를 열기 위해 분주한 발걸음을 옮기겠다"고 강조했다.
이보다 앞서 완주군은 박성일 전 군수 시절부터 시 승격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온 것으로 알려져 민간단체의 이 같은 요구가 받아 들여질지는 미지수다.
우범기 시장 “완주·전주통합청사 완주군에 건립” 지방선거 공약
한편 전주시는 1980년대 지어진 현 노송동 시청사 옆에 제2청사를 신축하기로 하고 최근 본격적인 추진에 나섰다. 전주시는 812억원을 투입해 오는 4월부터 현재 시의회 청사 바로 옆 삼성생명 빌딩 일원 3006㎡ 부지를 매입한 뒤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지하 1층~지상 9층 규모, 연면적 1만3800㎡ 규모로 신축할 계획이다.
현 전주시청사는 지난 1983년 완공돼 노후화하고 협소한 데다 그동안 늘어난 행정수요와 조직 크기를 감당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왔다. 그러나 우범기 시장은 지난해 6·1 지방선거 기간에 선거공약으로 완주·전주통합을 제시하면서 "통합시청사는 완주군에 건립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어 최근 제2청사 추진에 대해 '통합 공약이 물 건너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