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탄압' 이어 '금권 저널리즘'...무너지는 '언론자유·신뢰'
뉴스 큐레이터 시선
'출근길 문답 중단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도 패스'
'중앙 일간지 간부들 김만배와 돈거래'
2023년을 맞는 대한민국 언론의 웃픈 자화상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해외 순방 전용기에 MBC 취재진이 탑승 배제된 이후 권력을 감시하고 비판해야 할 언론이 되레 권력에 의해 탄압 받는다며 비웃음을 받았다.
전 세계 많은 언론인·단체들로부터 ’언론탄압‘이란 비판과 ’최고 통치권자의 저급한 언론관‘이란 손가락질을 받았지만 국내 일부 언론들은 데면데면 남의 일 바라보듯 했다. 오히려 '내편 네편 편가르기'로 언론계를 이간질하는 권력의 편에 기대어 코너에 몰린 언론을 물어 뜯는 언론들도 있었다.
'하이에나 저널리즘'의 단면을 드러냈다. 그러더니 한달여 만에 언론계 내부의 돈거래 의혹이 불거졌다. 언론계의 추악한 ’금권 저널리즘‘ 현상으로 치부할 만하다. 그동안 지역에만 존재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서울(중앙)에도 존재한다는 사실, 오히려 단위 액수가 훨신 크다는 점이 다르다는 것을 이제 알았다.
'김만배 돈거래 의혹' 관련 언론들 업무배제 등 조치...'눈총'
대장동 개발사업 자산관리사 '화천대유'의 대주주 김만배 씨가 중앙 일간지 간부들과 금전 거래를 했다는 언론 보도가 잇따르면서 언론계를 향한 시선이 더욱 싸늘하기만 하다. 조선일보는 6일 보도를 통해 김씨로부터 돈거래 의혹을 받는 언론들과 내역을 상세히 공개했다.
해당 기사에 따르면 '2019~2020년쯤 6억원을 전달받은 한겨레 간부', '2020년 1억원을 전달받은 한국일보 간부', '2019년 9,000만원을 전달받은 중앙일보 간부' 등이 포함됐다. 조선일보는 "김씨와 억대의 돈거래를 한 것으로 나타난 언론인은 3명으로, 김씨와 비슷한 연조이거나 법조기자로 함께 활동했던 인연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이보다 하루 앞선 5일 SBS도 "검찰이 김만배 씨 관련 자금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언론사 간부들에게 돈이 흘러간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이처럼 검찰은 김씨가 대장동 사업으로 벌어들인 돈의 흐름을 정치권에 이어 언론계 내부를 향해 쫓는 모양새다. 그러자 잇따라 많은 언론들이 이와 유사한 보도를 하면서 추가로 더 많은 돈거래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가 기자들과 9,000만원~6억원 상당의 금전 거래를 했다는 사실이 드러난 후 해당 언론사들은 즉각 대응 조치를 내놓았다. 한겨레는 해당 간부를 업무에서 배제하고 노사 공동으로 진상조사위를 꾸려 사실관계 확인에 나섰다.
한국일보는 보도에서 언급된 간부를 대기발령하고 법무팀 차원에서 진상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일보지부는 회사 진상조사와는 별개로 해당 간부의 이해충돌·청탁금지법 위반 소지를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해당 간부는 평소 친분을 이어온 한국일보 출신 김만배 씨에게 차용증을 쓰고 1억 원을 빌렸다고 노조에 해명했다.
중앙일보 간부는 “김씨가 현금이 없을 때인 2018년 8,000만원을 계좌로 빌려주고 7~8개월 뒤인 2019년 4월 원금과 이자를 합쳐 수표로 총 9,000만원을 돌려받은 것"이라고 언론에 밝혔다.
”기자들은 현찰이 필요해?“...중앙 언론 돈거래 스캔들 어디까지?
이처럼 2021년 8월 '경기경제신문'에 실린 기자수첩을 통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대장동 사건의 불똥이 언론계로 튄 형국이다. 2010년부터 이어져 온 사건이 뒤늦게 알려지게 된 배경에 '일명 대장동 일당의 기자 로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져 왔지만 윤각이 드러나지 않을을 뿐이다. 이후 "대장동은 막느라고 너무 지쳐. 걔네(기자)들은 현찰이 필요해"란 당사자들의 녹취 대화 내용은 많은 것을 암시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스는 6일 해당 기사에서 ”대장동 개발사업 자산관리사 '화천대유'의 대주주 김만배 씨가 기자들에게 돈을 전달한 정황이 '정영학 녹취록'을 통해 포착되었고, 검찰이 금전거래를 확인하면서 의혹 당사자인 기자들의 소속 언론사까지 공개됐다“며 ”'50억 클럽' 홍선근 머니투데이 회장 의혹, 조선일보 논설위원 등의 화천대유 고문 계약에 이은 언론계 스캔들“이라고 밝혔다.
뉴스타파도 지난해 12월 29일 ’대장동 키맨 김만배 "기자들에게 현금 2억씩, 아파트 분양권도 줬다"‘의 기사에서 '정영학 녹취록'과 '정영학 메모'를 입수해 김만배 씨가 여러 언론사의 기자들에게 금품을 돌린 정황을 보도했다. 앞서 홍선근 머니투데이그룹 회장이 '대장동 50억 클럽 의혹'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경찰은 지난해 11월 홍 회장의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무리한 개발사업 '검은 거래‘ 상존...지역도 예외 아냐
뉴스타파는 홍 회장이 김만배 씨로부터 두 아들 계좌로 49억원을 받았다가 돌려줬다고 보도했다. 언론인들을 굴비 엮듯 줄줄이 연루된 검은 거액의 돈거래 사건은 언론계 전체의 신뢰를 무너뜨릴 만한 사건이다.
중앙 언론사 돈거래 사건의 후폭풍과 불똥이 어디로 어떻게 튈지 예측하기 어렵다. 중앙 언론의 거액 거래 스캔들 비위가 가뜩이나 기세등등한 '윤석열 정부의 검찰' 손아귀에 달려있다. 언론계 위상이 추악하게 추락하는 건 시간문제다. 그런데 유사한 일들이 지역에서도 비일비재하다. 무리한 개발사업들이 바로 그 주범들이다.
검은 거래가 상존하고, 그 거래 중간에는 브로커들이 활개치고 있다. 전북지역에서 지난 지방선거 과정에서 일부이긴 하지만 실체가 드러난 '선거 브로커'는 대표적 사례다. 개발을 둘러싼 검은 거래와 브로커들이 더 이상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언론계 전체의 신뢰가 나락으로 추락하는 것만은 막아야 한다. 그것은 검찰의 몫이 아닌 언론인들의 몫이어야 한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