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원 전북대 총장, 4년 임기 ‘긍정' 자평에 언론들 ‘극찬’...비리·문제점 반성·지적은 왜 안 하나?

[뉴스 큐레이션] 2022년 12월 30일

2022-12-30     박주현 기자

"전북대 김동원 총장, 한걸음 한걸음 내딛은 4년의 ‘혁신’" 

김동원 전북대 총장 "지난 4년 치열하게 살았다." 

전북대 김동원 총장 “지난 4년, 혁신의 시간이었다.” 

퇴임을 한 달여 앞둔 전북대학교 김동원 총장이 지난 4년을 회고하고 자평하는 기자간담회 이후 지역 일간지들과 일부 방송·통신사들이 아낌없는 박수와 찬사를 지면과 영상을 통해 전달했다.

김동원 총장 기자간담회 “4년 연속 만족도 1위” 등 성과만 '치중' 

29일 전북대 김동원 총장(맨 오른쪽)이 4년 임기 동안의 성과를 설명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사진=전북대 제공)

김 총장은 29일 전북대 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나온 4년간 알찬대학을 만들기 위해 교육과 연구,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 등에 힘을 쏟았다”면서 “지역사회를 위해서도 거점국립대학으로서 전북대가 꼭 해야할 일들을 해왔다”는 등의 긍정적인 자평과 소회를 밝혔다.

특히 김 총장은 “혁신의 시간이었다”며 “소중한 결실이 많지만 한국표준협회가 평가한 재학생들 대학 만족도에서 4년 연속 거점국립대 1위를 기록한 것이 기억에 남는 성과”라고 언론사 기자들을 모아 놓고 평가했다. 이에 지역 일간지들은 30일 김 총장의 기자회견 내용을 지면에 큼지막하게 반영했다. 

언론들은 주로 “김 총장이 취임 이후 ‘알찬대학, 따뜻한 동행’에 나섰다”며 “김 총장이 이끈 전북대는 코로나19 재정난, 대학사회 전체의 부침 등으로 위기 속에서도 혁신의 기반을 다졌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칭찬 일색의 보도를 했다. 일부 언론들은 긍정 일변도의 인터뷰 기사를 비슷한 질문과 내용들로 내보냈다. 

그러나 되돌아보면 지난 4년 동안 전북대는 '지역거점국립대학'이란 위상에 걸맞지 않은 내부 비리와 일탈 등으로 많은 상처를 남겼다. 아직도 채 아물지 않았았다는 점에서 이 또한 냉철히 평가받아야 성찰과 발전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다. 특히 올해 국정감사에서는 뼈아픈 지적들을 많이 받았다. 

2개월 전 국정감사에서 당한 ‘망신·수모’ 벌써 잊었나 

전북대 캠퍼스 전경(사진=전북대 제공)

10월 12일 전남대학교에서 진행된 전북대학교에 대한 국정감사의 최대 화두는 ‘새만금 해상풍력사업’을 둘러싼 각종 비리 의혹과 질타가 쏟아졌다. 특히 이날 국감에서는 새만금 해상풍력사업 외에도 연구 인건비 횡령은 물론, 겸직 허가 없이 영리 업체 이사를 맡는 등 의혹 투성이인데도 대학 측이 무책임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질타가 이어졌다. 

여기에 전북대는 국민권익위원회 청렴도 평가에서 16개 국·공립대 가운데 유일하게 3년째 최하위 등급을 받은 것에 대한 지적도 이어져 망신과 수난의 하루였다. 특히 국회 교육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북대 S교수의 새만금 해상풍력사업 개입 외에도 겸직 미신고, 논문 표절과 연구비 횡령 의혹, 교수 채용 및 승진 의혹 등이 연이어 제기돼 따가운 시선을 받았다. 

무엇보다 청렴도 평가에서 3년 연속 최하위인 5등급을 받은 전북대는 16개 국·공립대 가운데 유일한 것으로 나타나 이날 국감장에서 창피를 톡톡히 당했다. 김 총장은 이에 대해 “연구비 횡령 의혹 등을 받는 해당 교수에 대해서는 윤리 위반 여부를 파악 중이며, 청렴도에 대해서는 대책을 세우겠다”고 답했다.

이처럼 이날 국감장에서 김 총장은 교수 비위와 청렴도 문제로 곤욕을 치뤘다. 이에 김 총장은 “우리대학 교수와 관련된 사건으로 사회적인 물의를 일으킨 데 대해서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밝혔지만 내부 문제점들은 비단 이뿐만이 아니다. 

갑질·성추행 등 임기 중 이어져...지역거점국립대 위상 ‘실추’, 신뢰 회복 '시급' 

김 총장 취임 이후 전북대 내부에서는 교수들의 불법·일탈 행위로 대학 위상이 크게 실추됐다. 2019년 교수들의 잇단 갑질, 성추행, 연구 비리, 음주운전 등으로 김 총장이 공개 사과를 하는 등 2020년에는 총장 선거에 개입한 혐의로 교수가 벌금형을 선고 받은데 이어 지난해는 교수의 제자 인건비 횡령 사건도 있었다. 

특히 교육부가 실시한 특정 감사에서 논문 부정 등 학사 비리가 무더기로 적발돼 교수 등 교직원 23명에 대해 무더기 징계를 통보, 따가운 눈총을 받았다. 당시 전북대 교수 20명이 논문 25건에 자녀 등 미성년자를 공저로 올리고 이 사실을 세 차례나 허위 보고하거나 묵살한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게다가 전북대 한 교수는 자신의 논문 5편에 당시 고등학생이던 자녀 두 명을 공저자로 올렸고, 이 자녀들은 연구 부정으로 판정된 논문을 대학 입시 자료로 활용해 전북대에 합격,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올들어서도 유학생 제자가 쓴 논문을 친동생 이름으로 바꿔치기한 교수가 법정에 서기도 했다. 이처럼 전북대가 성추행을 비롯해 음주운전, 논문 부정, 선거 개입 등 교수들의 도덕적 해이가 선을 넘어서며 전례 없이 뜨거운 비판의 여론에 시달려야 했다. 이 같은 위기 상황에서 지역거점국립대학의 역할을 다하고 실추된 신뢰와 위상을 되찾기 위한 돌파구가 절실하다는 여론이 비등했다.

전북대 학생 5명 중 1명 '자퇴'...자퇴율 지방거점국립대 중 ‘최고’

전북대 정문 전경(사진=전북대 제공)

이밖에 전북대 학생 5명 중 1명이 자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 9개의 지방거점국립대학 중 전북대의 자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태규 국민의힘 국회의원(교육위원회 간사)이 지방거점국립대들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대에 입학했다가 학교를 그만둔 학생은 1,083명이었다. 이는 같은 기간 신입생 4,225명의 25.6% 수준이다. 전북대는 2016년부터 올 8월까지 자퇴생의 수가 모두 6,074명으로, 전체 신입생의 20.9%에 달했다.

전북대의 자퇴생 비율은 2016년 20.9%인 858명에서 2019년 989명(23.4%), 2020년 962명(23.1%)에 이어 2021년에는 1,000명을 넘겼다. 전북대의 2021년 신입생 대비 자퇴생 비율은 25.6%로 전국 거점국립대 9곳 가운데 가장 높았다. 특히 이 같은 전북대 자퇴생 비율은 전국 평균 18.7%보다 6.9%p나 높은 수치로 드러났다.

지난해 자퇴생 비율은 전북대에 이어 강원대 19.4%, 경북대18.9%, 부산대 17.7%, 전남대 17.2%, 충북대 16.7%, 제주대 16.1%, 충남대 14.6% 순이었다. 전북대는 지난 2016년 20.9%에서 지난해 25.6%로 4.7%p나 증가해 다른 지역보다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김 총장 재임 시절 이뤄진 일들이란 점에서 마냥 '혁신'과 '발전'을 강조할 때가 아니란 따가운 지적들이 나오는 이유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