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S교수·일가 연루 새만금 풍력발전 '수사 의뢰' 파장 확산...지역 업체들 ‘불똥’ 우려
뉴스 큐레이터 시선
새만금 해상풍력 발전사업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의 전북대 S교수 일가 소유 ‘더지오디’에 대한 양수 인가 철회 결정 이후 수사 의뢰 등의 후속 조치가 속도를 내면서 파장이 확대되고 있다.
[해당 기사]
전북대 교수 연루 '7,200배 수익' 논란 새만금 풍력발전사업, 결국 철회...재생에너지 ‘먹구름’, 새만금 투자 ‘악영향’
산업부 전기위원회는 지난 9일 회의를 열고 '더지오디'의 새만금 풍력발전사업 양수 인가 철회(안)을 심의·의결, 12일부로 사업에 대한 양수 인가를 철회하기로 결정한데 이어 경찰 수사 의뢰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혀 더지오디에 공유수면 점용 사용 허가를 내준 새만금개발청 등의 후속 조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산업부 강도 높은 양수 인가 철회 이어 새만금개발청 후속 조치 ‘주목’
새만금개발청은 2016년 '새만금해상풍력(주)'에 새만금 일대 공유수면 점용 사용 허가를 내줬기 때문이다. 이후 2021년 더지오디는 새만금해상풍력(주)으로부터 새만금 풍력발전사업권을 양수 인가받았고 이 과정에서 공유수면 점용 사용 허가 역시 이전 신고됐다.
그러나 더지오디에 대한 양수 인가가 철회되면서 공유수면 점용 사용 허가에 대한 취소 처분 역시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앞서 전북대 S교수는 지난 2015년 6월 새만금해상풍력(주)을 설립하고 같은 해 12월 산업부로부터 새만금 풍력발전사업을 허가받았다.
이후 새만금해상풍력은 지난해 11월 산업부의 양수 인가를 거쳐 S교수 가족이 실소유주인 SPC(특수목적법인) 더지오디에 발전사업권을 양도했다. 자본금이 1,000만원에 불과했던 더지오디는 다시 지난 6월 '조도풍력발전'에 지분 84%를 넘기며 자본금 대비 7,000배가 넘는 약 720억원을 벌어들였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투자 회사 자금 회수 등 관련 산업에 막대한 영향...업계 '비상'
하지만 문제는 더지오디에 대한 행정조치가 단순 해당 업체뿐만 아니라 관련 재생에너지산업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먼저 새만금해상풍력(주)으로부터 더지오디 주식을 양도받은 '비그림파워'(외국계)는 새만금 해상풍력사업에 180억원, 육상태양광 3구역에 390억원 등 국내 재생에너지사업에 총 1,500억원 상당을 투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전기위원회 결과에 따라 육상 태양광 3구역에 투자한 전환사채 및 대여금 회수에 들어갈 예정으로 전해지면서 업계 전반에 비상이 걸렸다. 여기에 EPC 공동 수급사로 참여한 지역 건설업체들에 대한 대금 지급액 약 600억원 가량도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양수 인가 철회로 발전사업권이 새만금해상풍력(주)으로 다시 돌아가게 돼 해당 업체는 물론 관련 업체들까지 경찰 수사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이처럼 더지오디에 대한 양수 인가 철회 결정의 후폭풍이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전반으로 확산돼 사업 동력을 상실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만 가고 있다.
투자자들 불안, 소송 예고...새만금 전반 ‘먹구름’ 우려
게다가 지난달 전북도는 S교수 일가가 대표인 해상풍력업체 '㈜제타이앤디'에 대해서도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상태다. 전북도는 서남권 해상풍력단지 개발사업과 관련해 지난해 ㈜제타이앤디에 도비 2억원을 사업비로 지원했으나 이 업체는 정산 자료를 제출하지 않고, 사업비 일부가 제대로 쓰이지 않은 것이 확인돼 수사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설상가상으로 기존 투자자들이 산업부 등을 상대로 법정 소송을 예고하면서 국내 재생에너지사업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확산이 예상된다. 아울러 새만금 사업지구 전반의 투자와 기업유치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높다.
/박주현 기자